
1. 병꽃풀(Ground ivy)(학명 : Glechoma hederacea) 다년생 꿀풀과인 병꽃풀은 연전초(連錢草), 동전초(銅錢草), 금전초(金錢草)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립니다. 활짝 핀 꽃이 긴 병을 닮아서 병꽃이라고 불립니다. 잎의 모양인 동전을 닮아서 붙여진 이림은 연전, 동전, 금전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꿀풀과이므로 줄기가 사간이라는 특징과 허브향이 나는데, 저지대 습지의 볕이 좋은 곳에서 자랍니다. 잎과 줄기는 붉은빛이 섞여서 같은 꿀풀과인 광대나물과 비슷해 보이지만 덩굴성입니다.처음부터 덩굴성은 아니고 꽃이 핀 후 점차 바닥을 기게 됩니다. 같은 종이로도 잎도 줄기도 줄기도 푸른 긴병꽃풀도 있습니다. 병꽃풀보다 긴병꽃풀을 더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둘 다 지표면을 덮는 피복식물 ..

1. 숲해설가, 유아숲지도사, 및 숲길등산지도사 자연휴양림, 유아숲체험원, 숲길 등에서 국민산림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올바른 가치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해설하거나 지도, 교육하는 전문가로서 숲해설가, 유아숲지도사, 숲길등산 지도사로 구분됩니다. 내일 배움 카드 만들러 가기 2. 숲해설가 자격증 취득하기숲해설가는 한국산림복지진흥원에서 관리 중입니다. 과정은 기관별, 분기별로 수강생을 모집 중이며, 신청서 작성 -> 수업료 입금 -> 3개월(통상적으로) 이론 수업 및 실습 ->자격증 신청 및 교부증 발급 3. 유아 숲 지도사 가격증 취득하기 마찬가지로 기관별, 분기별로 수강생을 모집 중이며,신청서(이력서) 작성 → 미래 배움 카드 발급(필수 사항인 경우가 많습니다.) → 이론 수업 및 ..

요즘처럼 소나기가 많이 오는 철이 되면 어릴 때 우산이 없어서 동네에서 급조한 커다란 잎을 우산 삼아 많이 쓰곤 했던 기억이 납니다. 잎이 큰 식물로는 흔하게 토란잎과 연잎, 호박잎등이 생각이 나는데, 호박잎은 힘이 없고 줄기가 가시가 많아서 잘 쓰진 않았고, 토란잎과 연잎을 쓰고 다녔던 것 같습니다. 토란잎 요즘도 가끔 텃밭이 있는 곳을 지나다 보면 사람 키보다 훌쩍 자라나 있는 토란숲(?)을 만나곤 합니다. 토란은 보통 땅속에 있는 덩이와 줄기를 보통 식용하는 것을 많이 보았습니다. 하지만 잎도 말려서 들기름에 볶아 드시기도 하는 가봅니다. ☞ 토란잎 말리기 토란대는 진물에 사람 손에 닿으면 두드러기가 일어난다고 하니 꼭 장갑을 끼시고 껍질을 벗겨, 다듬어서 일주일 이상 바싹 말렸다가 드시기 좋은 크..

기생초(妓生草)(학명 : Coreopsis tinctoria)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며 관상용으로 많이 심습니다. 높이는 30~100cm이며 전체에 털이 없으며 가지를 칩니다. 잎은 마주나며 밑부분의 잎에는 잎자루가 있으며 2회 깃꼴로 갈라지고 갈라진 조작은 줄모양이거나 뾰족한 타원형입니다. 윗부분 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갈라지지 않습니다. 꽃은 7~10월에 피고 꽃자루가 단축된 총포조각은 1~2줄로 배열되어 줄 모양의 긴 타원형이거나 삼각형이고 가장자리가 막질입니다. 안의 조각은 계란 모양이며 길이는 5~6mm입니다. 설상화의 끝이 얕게 3갈래로 갈라지고 진한 노란색으로 밑부분은 진한 붉은 갈색계열의 색을 띠고 있습니다. 관상화는 자주갈색이거나 흑갈색입입니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줄 모양의 긴 타원형이며..